Shinuh Lee is a composer from Korea who writes music that speaks to the world. Her compositions are informed by spirituality and faith, but don’t require adherence to appreciate. Through her music Lee explores the big-picture questions of our shared experiences as human beings, and it is content to ask more of these questions than it answers.
Lee’s compositions share similar artistic goals with some of her beloved musical ancestors. Her music has a melodic integrity and commitment to counterpoint that pays homage to Bach. In many of her works over the past two decades we hear sonorities that would be at home ina score by Messiaen. Is it any wonder that these composers whose work was focused through the lens of faith are major influences on Lee?
Dr. Lee has used Biblical psalms to inspire several of her works, not as declaimed text, but as character and formal models for the music. One compelling example of this is found in her Violin Fantasy No. 2 《Laudate Dominum》 (2006), a work that takes a psalm setting by Mozart and quotes it as a source for the larger piece. The Fantasy begins with the introduction of Lee’s material, followed by a second introduction of the eponymous Mozart aria from his choral work 《Vesperae solennes de confessore》 in quotation. The Mozart quote soon becomes interstitial as Lee brings the listener through an extended violin cadenza, a quiet musical stillness, and to a massive ending that triumphantly declares it’s praise of the Lord. Lee’s sensitivity to text shows, as the piece returns to its opening material (honoring the Psalms final words “As it was in the beginning is now and forever”).
A painting by Monet seen on one of Lee’s visits to New York’s MOMA inspired the 《Psalm Sonata》 for violin and piano (2011-2013). Monet’s image evoked the words of Psalm 8 that serve as a kind of narration to this piece. The scale may not be apparent in the very opening, which is reminiscent of the simplicity of a Bach invention, but it quickly grows into the florid sound world all Lee’s own. The second movement invokes both the beauty and fearful power of the firmament: “When I consider thy heavens, the work of thy fingers, the moon and the stars…” Lee lets up on the activity with an abbreviated and introspective third movement that quickly yields way to a fourth Shostakovich-style music that alternates between decisive marches and rhythmic dances. The piece ends by opening the final movement with material from very beginning of the work - a device also found in the Fantasy, but this time finding its way to an opposite place of humility and quiet faith in acknowledgement of awe, whispering “O Lord our Lord, how excellent is thy name in all the earth!”
For Lee the inspiration of faith and spirituality is inextricably linked with nature as she responds to the world around her in her work. The Caprice No. 1 《꽃》 [Kkot] written for violinist Stephen Kim (2019-2020) reflects on a time when Lee was living in England and constantly fluctuating weather. This time was also the first outbreak of COVID and saw a total lockdown of the area in which she was living. Listening to the Caprice No. 1 we hear the ferocity of a great storm, but also the metaphor of the raging path of the COVID virus–itself a kind of terrible flower adorned by a crown. We emerge from the storm at the end of the short work in a state of tranquility, if not a bit of shell shock. The only question remains of if the storm has passed or if we remain in its eye.
Written in the same year as The Caprice No. 1 and for the same violinist, the Sonata No. 2 for Violin and Piano 《Till Dawn》 represents a philosophical turning point for Lee; the result of a year abroad in the UK spent in the isolation and loneliness of lockdown. Lee brings the listener immediately into the despair of these difficult times in the first movement through some of her most solemn and darkest musical utterances.
The second movement does not let up in its sporadic interjections between violin and piano. The sparseness of the movement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silences, as powerful as any loudness in the piece. This movement has a tempo character indication “dark and bitter,” which is surely a rarity for Lee’s music - if not the first time used. The third movement gives some respite from the darkness in an exquisitely simple solo violin line. The melody is long and elegant but does not offer total absolution from what came before - one hears a resignation, or perhaps acceptance, in the quiet lonely lamentations of the solo voice, as if Lee is singing in this part of the piece, herself.
The fourth movement acts as a bridge, moving between heavy gestures of darkness and growing expressions of hope. This leads us to the final movement without break, that opens with the intriguing indication “Lucido e misterioso” - shining or luminous and mysterious. On one hand, this is just a notation to give the performers a better idea of how to convey the music, but on another, the true core of the piece is found in those simple words. Listening to《Till Dawn》 we grow to understand that the mysteries are still there, and the challenges and “dark and bitter” elements of our lives remain. But the composer takes us on a journey of faith - a struggle where she emerges even more resolute. The piece ends in what at first seems like a question - single repeated piano notes left hanging mid-air. But upon further contemplation this gesture soon reveals itself to be an openness and acceptance of all that may come, or in a word: hope.
David Serkin Ludwig
Dean and Director of the Music Division, The Juilliard School
Playing new contemporary music is often like walking on fresh, untouched snow. There is an excitement of jumping right in and taking the first steps, as well as a curiosity of the unknown that comes with its own challenges.
Playing the music of Shinuh Lee is no exception. It was several years ago that I played the composer's 《Psalm of Nature》 for solo violin and in more recent years that I had led the Sejong Soloists in the premiere of her symphonic poem 《Yeomillak》.
It is a great joy for musicians to receive a piece dedicated to them, and I am delighted to be the dedicatee of two new compositions in this recording.
At the composer's request, the title that I have given to the Caprice No. 1 for solo violin is《꽃》 [Kkot]. With a sharp pronunciation that finds itself between "coat" and "cot", "kkot" is the Korean word for "flower".
The title 《꽃》 [Kkot] serves a few different purposes. The sharp pronunciation of the Korean word hides behind it a beautiful meaning, as does the piece itself. Upon listening to the caprice, beauty may hardly be the first word that comes to mind for the listener when considering the usual sense of the word. It calls to challenge one's perceptions of beauty in its expected sense and also calls one's attention not solely towards the appearance of a flower, but also towards the arduous process that a flower goes through in its growth. The caprice 《꽃》 - with its twists and turns, thorns and rough edges, and repeating motifs and waltzes that resemble the cycles of natural weather and the circling petals of a flower - contains a constant directional drive, as plants often lean towards the direction of the sunlight. Eventually, after all the rain and wind, the piece comes to its tranquil last section. The sun finally comes out of the clouds, and the flower blooms. The listeners may find relation to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piece.
The next new composition is titled 《Till Dawn》, given by the composer and the second of the sonatas for violin and piano. The piece reflects a glimpse of the composer's emotional conflict and struggle, and as the title suggests, one of the conflicts explored is the idea of darkness to light.
After a rather gloomy and bleak atmosphere established in the introduction, the first movement essentially runs in perpetual motion with the violin and piano chasing each other at moments and some interruptions of sudden silence in between. The opening music is restated passionately at the conclusion of the movement, which finds itself returning to the emptiness of the introduction as the movement draws to a close in silence.
The second movement furthers the sense of conflict between outbursts of frustration and silence, with the fragmented statements growing gradually after each momentary pause. The listener can sense some hesitancy with each statement, and this hesitancy continues through sections of dance-like swing metered in five, where the division of the bar alternates indecisively between two plus three and three plus two. The harmonics played by the violin in this movement represent lonely, frightening shrieks.
These elements of despair and solitude are central to the piece, evident in the middle third movement that is played entirely by solo violin. The melodic nature of the third movement may strike the listener as a quiet plea or a song of solitude.
The fourth movement serves as a transition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It is this uncertainty that is expressed in the displacement of accents, uneven rhythms, and dotted bar lines, creating ambiguity in rhythmic beats.
Still, the listener can hear a glimpse of the "dawn" in the fourth movement, and it arrives in the final fifth movement. After a continuation of the previous movement's uncertainty in its introduction, the fifth movements gives the listener a gradual feeling of warmth and light through its melodic and harmonic textures. The changes of the key signatures are symbolic of this atmosphere growing in brightness. The intensifying sections lead to a return of cyclic motivic material from the previous movements, and the piece softly fades in the distance.
Aside from the conflicts and ideas of darkness to light, frustration and despair, and solitude,《Till Dawn》 explores elements of perseverance and hope.
《Psalm Sonata》, the first sonata for violin and piano, and 《Laudate Dominum》, the second fantasy for violin and piano, are the other two recent compositions in this recording. Whereas 《꽃》 [Kkot] and 《Till Dawn》 focus on earthly attributes and experiences, 《Psalm Sonata》 and 《Laudate Dominum》 turn towards spiritual aspects in another kind of world. One can feel a sense of ebb and flow in the sonata's first movement, fantasy-like and rhapsodic elements in the second, delicate curiosity in the third, mischievous stomping dances and waltzes in the fourth, and songs of birds and bell chimes in the fifth movement. Meanwhile, the fantasy opens with melodic material that repeats throughout the piece. After quotations from the 《Laudate Dominum》 movement from Mozart's 《Vesperae solennes de confessore》, the fantasy takes motivic material from the quotations and develops slight variances of the motivic material, leading to a cadenza for the violin. After the cadenza, the melody from the opening of the piece reappears, with each statement of the melodic material progressing gradually towards a celebratory conclusion.
The listener can hear motivic material connecting all of the four pieces. Certainly elements of both earthly and spiritual attributes are presented throughout each piece. The composer's use of sound textures, silence, as well as the blurring of the perception of tonal harmony, while not entirely abandoned, portray how the pieces connect these elements of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atmospheres.
It is with hope that this recording serves not necessarily as a final product of these pieces but also as a beginning of these compositions' introduction in the violin literature.
I would like to express my appreciation of and thanks to all of the people who contributed in the making of this recording, to Youngsung Park for his artistry and companionship in this exploration, and especially to Shinuh Lee, for her wonderful compositions and a memorable collaboration.
Stephen Kim
This album compiles several violin works that embody my everlasting interests in human connection with the nature and spirituality. It came to fruition through many-layered conversations with violinist Stephen Kim. The title ‘Till Dawn’, one of two new pieces for this album, presents my reflections upon my career as a composer and also encapsulates my life as a human being with ceaseless creative passion for the unknown future.
《Till Dawn》, my second Sonata for Violin and Piano, was created during those unnerving times of Covid-19 pandemic throughout 2020, during which my life was transplanted from Korea to the UK in the midst of uncertainty and anxiety. The fifth movement came to me initially in late 2019 prior to the pandemic, and then during the quarantine in Birmingham, UK, I went through the long period of extensive and intensive revision of key ideas involved in it. Starting from December 2021, I was able to speed up to finish off the piece in its entirety at March 2021.
The title ‘Till dawn’ came from Psalm 37:6 “radiate like the dawn.” The quote has remained as an unflagging inspiration not only for the main theme in the fifth movement but also for what this sonata ultimately aspires to be in terms of sound, style and aesthetics.
《Till Dawn》, along with Caprice No.1 《꽃》 [Kkot], was newly composed for and dedicated to violinist Stephen Kim, and I learned a lot from interactions with him. It is natural for his philosophy and perspective, as I understand them, to be accommodated in my composition to a considerable degree. It was premiered at his recital with pianist Youngsung Park, as a part of Sejong Soloists Hic et Nunc!, in Seoul Arts Center on August 22, 2021.
Sonata No.1 for Violin and Piano, entitled as 《Psalm Sonata》, was conceived during my sabbatical year at New Jersey, US, in 2011. Sonata No.2 《Till Dawn》 was written in my second sabbatical at Birmingham, UK, in 2020. These two violin sonatas shall be remembered as special gifts from one-year break from school. Looking back, I feel that 《Psalm Sonata》 helped me living in rest and serenity in contact with the beauty and wonder of nature, and also made me realize the joy of creation that only springs from such break. Commissioned by OPUS, the work was composed for violinist Ji-yoon Park. It was premiered, with pianist Ilya Rashkovskiy, in Seoul Arts Center (IBK Chamber Hall) on August 24th, 2014. It was released by Dux.
Violin Fantasy No.2 《Laudate Dominum》 was commissioned by violinist Siyeon Ryu, in commemoration of Mozart 250th anniversary. The work was premiered at Siyeon Ryu’s recital with pianist Soojin Park in Kumho Art Hall on October 20, 2006. The live recording of the performance was also released by Studio2021.
Shinuh Lee
(English Translation : Sonjeong Cho)
한국 작곡가 이신우는 세상에 호소하는 음악을 쓴다. 그녀의 작품들은 영성과 신앙으로부터 우러나온 것이지만, 반드시 그것을 인정받고자 집착하지 않는다. 이신우는 자신의 음악을 통해 우리가 인간으로서 공유하는 경험들에 대한 전체적인 질문들을 탐구하고, 그에 답하기보다는 오히려 더 많은 질문들을 묻는 데에 만족한다.
이신우의 작품들은 그녀가 친애하는 음악 선조들과 예술적 목표를 어느 정도 공유한다. 그녀의 음악이 지닌 선율의 온전성과 탄탄한 대위법은 바흐에 대한 경의의 표시이다. 그녀가 지난 20여 년 동안 발표한 작품들에서는 메시앙의 악보에 담겨 있는 소노리티가 들려온다. 신앙의 렌즈로 초점을 잡은 이 작곡가들의 작품이 이신우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닐까?
이신우는 자신의 작품들에 영감을 준 성경의 기도문들을 일부 가져왔는데, 텍스트를 있는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음악을 위한 캐릭터이자 양식적 모델로 사용했다. 이와 관련된 한 가지 인상적인 사례는 바이올린 환상곡 제2번 《주를 찬미하라 Laudate Dominum》 (2006)로, 동일한 기도문을 가사로 사용한 모차르트 원곡을 인용하여 더욱 확대시킨 작품이다. 이 환상곡에서는 이신우가 작곡한 소재가 도입부로 시작된 뒤, 모차르트의 합창곡 《구도자를 위한 저녁기도 Vesperae solennes de confessore》 중 동일한 곡명의 아리아(‘주를 찬미하라’)를 인용한 두 번째 도입부가 뒤따라 나온다. 모차르트 인용은 곧 틈새 사이로 사라지고 확장된 바이올린 카덴차와 고요한 음악적 정적을 지나 주를 찬양하라 위풍당당하게 외치는 육중한 결말로 귀결된다. 다시 오프닝 소재(기도의 마지막 문장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로 찬미하며)로 돌아오는 이 음악에서는 텍스트에 대한 이신우의 감수성을 엿볼 수 있다.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시편소나타》 (2011-2013)는 이신우가 뉴욕현대미술관에 방문했을 때 감상한 모네의 회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작곡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일종의 내레이션 역할을 하는 시편 제8장의 기도문은 바로 모네의 이미지에서 연상된 것이다. 바흐 인벤션의 단순성을 연상시키는 오프닝 순간에는 스케일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차츰 이신우 특유의 화려한 사운드의 세계가 모습을 드러낸다. 제2악장에서는 하늘의 아름다움과 두려운 권능이 동시에 떠오르는 시편 구절 “주의 손가락으로 만드신 주의 하늘과 주께서 베풀어 두신 달과 별들을 내가 보오니…”가 연상된다.
음악은 압축적이고 자기성찰적인 3악장에 이르러 활기가 다소 누그러졌다가 곧 이어지는 4악장에서는 단호한 행진곡과 리드미컬한 춤곡이 번갈아 교차되는 쇼스타코비치 스타일로 변신한다. 소나타는 맨 처음 시작할 때 바로 그 소재로 마지막 악장의 오프닝을 연주하며 끝난다. 이런 시도는 환상곡과 똑같은 방식이지만, 이번에는 겸손하고 고요한 신앙과는 정반대의 길을 걸어가며 “오 주여, 우리 주여, 주의 이름이 온 땅에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라고 속삭인다.
자신의 작품에 주변 세계에 대한 응답을 담는 이신우는 신앙과 영성의 영감은 자연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엮여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스티븐 김을 위해 작곡한 카프리스 제1번 《꽃》 (2019-2020)은 이신우가 영국에 살던 시절과 끊임없이 변덕을 부리던 날씨를 떠올린 것이다. 또한 코로나가 발병하며 자신이 살던 지역이 완전히 봉쇄되는 것도 지켜보았다. 카프리스 제1번에서는 거대한 폭풍의 격렬함뿐 아니라, 코로나 바이러스가 폭력적으로 번지는 모습을 왕관처럼 꾸민, 일종의 끔직한 꽃으로 비유한 메타포도 들려온다. 이 짧은 작품의 결말에 이르러 그 폭풍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우리는 다소 맥이 탁 풀린 듯 평온한 상태에 다다른다. 폭풍이 과연 완전히 멀어진 것인지 아니면 아직 폭풍의 눈을 지나고 있는지가 유일한 의문으로 남을 뿐이다.
카프리스 제1번과 같은 해, 같은 바이올리니스트를 위해 작곡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제2번 《틸 던》은 이신우에게 철학적 전환점을 나타내는 작품으로, 1년여의 영국 체류 중 경험한 봉쇄로 인한 고립과 고독의 결과물이다. 이신우는 가장 엄숙하고도 어두운 음악적 표현을 통해 제1악장부터 곧바로 듣는 이를 이 어려운 시국의 절망으로 인도한다.
제2악장에서는 바이올린과 피아노 사이에 끊임없이 감탄사가 산발적으로 터진다. 작품에서 감지되는 희박한 움직임은 큰소리만큼이나 강력한 침묵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이 악장에는 “어둡고 씁쓸하게 dark and bitter”라는 템포 지시가 있는데, 이번에 이신우가 처음 사용한 것이던가, 그렇지 않더라도 그녀의 음악에서는 확실히 드문 사례이다. 아주 우아하면서도 단순한 독주 바이올린 선율이 흘러나오는 제3악장은 어둠으로부터 잠시 벗어난다. 멜로디는 길고 우아하지만 이전의 분위기로부터 완전히 해방되는 것은 아니다. 조용하고도 외로운 애가(哀歌)를 노래하는 독주 선율에서는 체념 혹은 포용이 느껴지는데, 마치 작곡가 본인이 작품의 일부가 되어 노래하는 듯하다.
제4악장은 무거운 어둠의 제스처와 점차 커져가는 희망의 표현 사이를 오가는 가교 역할을 한다. 이렇게 쉼 없이 이어가다 도달하는 마지막 악장은 “밝게 빛나면서 신비롭게 Lucido e misterioso”라는 흥미로운 지시와 더불어 시작된다. 이런 지시는 연주자에게 음악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 더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런 간단한 단어들에서 작품의 진정한 핵심을 찾아볼 수 있다. 《틸 던》을 들으면 신비로운 것들이 여전히 그곳에 존재하고 우리 삶에 난관과 “어둡고 씁쓸한” 요소들이 남아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작곡가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우리를 신앙의 여정으로 이끌며 심지어 더욱 확고하게 투쟁의 의지를 다진다. 마지막에 피아노가 반복해서 두드리는 음표가 공중에 매달린 채 끝나는 이 작품은 언뜻 질문을 던진 채 마무리되는 듯 보인다. 하지만 더 깊이 들여다보면 이 제스처는 앞으로 다가올 모든 것, 즉 희망을 향해 마음을 열고 받아들이는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데이비드 서킨 러드윅
줄리아드음대 학장
(한글 번역 : 노승림)
동시대에 작곡된 새로운 작품을 연주하는 것은 종종 아직 아무도 걷지 않은 눈 위를 걷는 것과 같다. 도전과 함께 찾아오는 미지의 것에 대한 호기심은 물론, 첫 발자국을 찍는 순간의 짜릿함이 느껴진다. 이신우의 음악을 연주할 때 또한 마찬가지다. 몇 년 전 나는 그녀의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자연의 시편》을 연주했고 또 보다 최근에는 세종 솔로이스츠를 이끌고 그녀의 교향시 《여민락》을 초연했다.
작곡가가 나를 위한 음악을 작곡해준다는 것은 음악가에게 엄청난 즐거움이기 마련인데, 이 음반 중 두 곡이나 헌정 받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작곡가의 요청에 따라 나는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카프리스 제1번에 《kkot》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coat”와 “cot”사이의 날카로운 발음을 가진 “kkot”은 한국말로 “꽃(flower)”란 뜻이다.
《kkot》이란 제목은 몇 가지 다양한 의도를 염두에 둔 것이다. 이 한국어 단어는 날카로운 발음 뒤로 아름다운 의미를 숨기고 있는데, 작품 또한 그런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카프리스를 듣노라면 일반적인 의미의 아름다움을 먼저 떠올리기 쉽지 않다. 이 제목은 일반적인 의미로 인식되는 아름다움에 이의를 제기할 뿐만 아니라 그저 꽃의 겉모습 뿐 아니라 꽃으로 성장하기까지의 지난한 과정에 주목한다. 카프리스 《Kkot》 - 그 구불구불한 굴곡들, 가시며 거친 모서리들, 반복되는 모티브들, 그리고 돌고 도는 날씨와 꽃을 빙 둘러싸고 있는 꽃잎들을 닮은 왈츠들 - 은 마치 식물들이 해가 있는 방향으로 몸을 기울이듯 일정한 방향성을 포함한다. 마침내 비와 바람이 모두 그친 뒤 작품은 고요한 마지막 섹션에 도달한다. 구름 너머로 태양이 다시 얼굴을 내밀고, 꽃이 피어난다. 듣는 이들은 이 작품에서 저마다 이와 유사한 자신만의 경험을 떠올릴 것이다.
《틸 던》은 작곡가가 직접 제목을 붙인 신곡으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로는 두 번째로 작곡되었다. 이 작품에서는 작곡가 개인의 감정적 갈등과 투쟁을 엿볼 수 있는데, 제목이 나타내듯 그 갈등 중 하나는 빛에 대한 어둠의 관념에 관한 것이다.
다소 우울하고 음산한 분위기로 도입부가 시작되면,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시시각각 서로를 뒤쫓다가 그 사이에 갑작스런 침묵이 훼방을 놓는다. 이런 움직임을 기반으로 제1악장은 계속해서 이어진다. 악장의 결말에 이르면 도입부에서 소개된 오프닝 음악이 또 한 번 열정적으로 언급되는데, 침묵 속에 악장이 끝나감에 따라 도입부의 공허함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2악장에서는 음악이 멈추는 찰나마다 파편화된 진술들이 쌓이는 가운데 좌절과 침묵의 폭발 사이로 갈등의 감정이 심화된다. 각각의 진술에서는 약간의 망설임이 느껴질 수 있는데, 이 망설임은 5박자로 분할된 춤곡 같은 스윙 섹션 전체에서 계속 반복되며, 여기서 2+3과 3+2로 분할된 마디가 희미하게 번갈아가며 이뤄진다. 이 악장에서 바이올린은 외롭고 섬뜩한 비명처럼 하모닉스를 연주한다.
작품의 중심을 차지하는 이러한 절망과 고독의 요소들은 독주 바이올린이 온전히 장악하는 제3악장 한 가운데 이르러 그 모습을 본격적으로 드러낸다. 제3악장이 지닌 선율적 성격은 조용한 애원 혹은 고독의 노래로 듣는 이의 심금을 울린다.
제4악장은 어둠에서 빛으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한다. 어긋난 악센트, 고르지 않은 리듬, 그리고 붓점으로 뒤덮인 마디 라인들로 표현되는 불확실성은 리드미컬한 박자에 모호함을 불어넣는다.
그럼에도, 제4악장에서는 “새벽”을 엿볼 수 있으며, 그렇게 마침내 제5악장에 도달한다. 도입부에서 이전 악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계속되다가 제5악장의 선율과 화성적 텍스처로 인해 점차 따스하고 밝아지는 기분이 느껴진다. 조표의 변화는 점점 밝아지는 이러한 분위기를 상징한다. 격렬해지는 섹션들은 이전 악장들에서 사용됐던 모티브 소재들을 다시 불러들이며, 음악은 저 멀리서 부드럽게 서서히 사라진다.
《틸 던》은 빛과 어둠에 대한 갈등과 관념들, 좌절과 절망, 고독과 더불어 인내와 희망의 요소들을 탐구한다.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첫 번째 소나타인 《시편소나타》, 그리고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두 번째 환상곡 《주를 찬미하라》는 이 음반에 수록된 또 다른 두 곡의 신곡들이다. 《꽃》과 《틸 던》이 세속적인 속성과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시편소나타》와 《주를 찬미하라》는 또 다른 세계의 영적 측면을 지향한다. 소나타의 제1악장에서는 밀물과 썰물의 느낌을, 제2악장에서는 판타지같은 듯 서사적인 요소들을, 제3악장에서는 섬세한 호기심을, 제4악장에서는 유쾌하게 발을 구르며 추는 춤과 왈츠를, 그리고 제5악장에서는 새들의 노랫소리와 종소리를 느낄 수 있다. 한편 환상곡은 작품 전체에 걸쳐 반복되는 멜로디 소재로 시작된다. 모차르트의 《구도자를 위한 저녁기도》 중 “주를 찬미하라”를 인용한 뒤 이 인용곡으로부터 모티브 소재를 가져와 미묘한 변화를 주며 발전시키다 바이올린 카덴차에 이른다. 카덴차가 연주된 후 작품의 오프닝 선율이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가운데 각각의 멜로디 소재들은 점차 찬양의 결말을 향해 전진한다.
이 작품에서는 4가지 모티브 소재들이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세속적인 속성과 영적인 속성 양쪽 모두가 각각의 소재들 도처에서 표현된다.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면서도 여전히 불분명한 조성적 화성은 물론 작곡가는 사운드 텍스처와 침묵을 사용하며 물리적인 분위기와 비물리적인 분위기 양쪽 모두에서 이런 요소들을 연결해낸다.
이 음반이 이 작품들의 최종 결과물로만 그치지 않고 보편적으로 연주되는 바이올린 작품목록으로 정착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이 음반을 제작하는데 많은 기여를 해준 사람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박영성은 음악을 탐구함에 있어 예술성과 동료애를 아끼지 않았고, 무엇보다 훌륭한 작품을 작곡해준 이신우와의 협업은 앞으로도 잊지 못할 것이다.
스티븐 김
(한글 번역 : 노승림)
두 개의 신작을 포함하는 이 앨범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탐구해 왔던 주제들인 인간 존재의 근원과 자연 및 초월적 세계를 다룬 나의 바이올린 작품들을 모은 것으로 바이올리니스트 스티븐 김과의 대화와 협업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앨범의 타이틀 ‘틸 던 Till Dawn’은 지나온 시간들과 현재, 그리고 다가올 미래에 대한 작곡가로서의 소회와 감정들을 담고 있으며 또한 앞으로 나아갈 미지의 창작 세계에 대한 한 인간으로서의 의지적 표현이기도 하다.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틸 던》은 2019년 말부터 코로나 19가 한국에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한 2020년 초, 그리고 2021년 3월까지,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 속 한국과 영국을 오가는 불안한 긴 여정 가운데 창작되었다. 5악장의 주제가 2019년 말에 가장 먼저 만들어졌으나 이후 많은 생각의 변화와 고민, 휴지기를 거쳐 2020년 12월부터 이듬 해 3월에 걸쳐 빠르게 완성되었다. 작품의 제목은 시편 37편 6절 “radiate like the dawn”으로부터 착안한 것으로, 5악장에 제시된 주제와 함께 작품이 향해 가는 최종 목적지의 사운드와 스타일, 미학적 측면에 결정적인 영감으로 작용했다.
카프리스 제1번 《꽃》과 더불어 바이올리니스트 스티븐 김을 위해 작곡하여 그에게 헌정한 곡인 《틸 던》에는 창작 과정에서 많은 대화가 있었기에 연주자에 대한 나의 개인적 인상이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음악가적 관점과 생각 또한 상당 부분 작품에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세종솔로이스츠 힉엣눙크의 일환으로 2021년 8월 22일에 열린 스티븐 김의 예술의전당 리사이틀에서 박영성의 피아노와 함께 초연되었다.
바이올린 소나타 1번에 해당하는 《시편소나타》는 2011년 미국 뉴저지에서의 나의 첫 번째 안식년 기간에 구상된 곡이다. 소나타 2번 《틸 던》이 영국 버밍엄에서의 두 번째 안식년에 쓰였으니 두 바이올린 소나타 모두 개인적으로 특별했던 일 년의 휴식 기간에 만들어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소나타 2번이 코로나로 인한 전 세계적 위기 상황 가운데 창작된 반면 《시편소나타》는 나에게 진정한 쉼과 평안, 자연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깨닫게 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쉼 속에서 누리는 창작의 기쁨을 알게 해 준 작품이기도 하다. 오푸스의 위촉으로 바이올리니스트 박지윤을 위해 작곡되어 일리야 라쉬코프스키의 피아노와 함께 2014년 8월 24일 예술의전당 IBK홀에서 초연되었고 Dux 레이블로 앨범이 발매되었다.
바이올린 환상곡 2번 《주를 찬미하라》는 모차르트 탄생 250주년을 맞아 바이올리니스트 유시연에 의해 위촉·초연된 작품이다. 2006년 10월 20일 금호아트홀 유시연의 독주회에서 박수진의 피아노와 함께 초연되었고 이 날 연주의 실황녹음이 스튜디오2021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이 신 우